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직접 쓰고 있기도 한 마스슬립의 메모리폼 매트리스가 어떻게 제작 되는지
자료를 가져와봤어요!
아무래도 화학 소재를 매트리스에 쓰다보니 아무거나 막 쓸 수 없었고,
인증을 받고 믿을만한 브랜드에서 구매했었어야 했던 저의 기준에서
이렇게 공개적으로 제작 과정과 실험 과정을 보여주는 메모리폼 매트리스 브랜드가 있어서 참 다행이더라구요.
바로 메모리폼 매트리스 제작 과정에 대해 알아보러 가보겠습니다!
오늘 글은 정보글이기두 하고,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이 있어 다소 지루할 수도 있어요! ㅠ_ㅠ
- 제작 관련 사진들은 모두 마스슬립 공식 블로그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
메모리폼은 무엇을 가지고 만드나요?
메모리폼은 쉽게 생각하면 스펀지라고 보면 되는데,
저렴한 스펀지부터 인체에 무해한 원료로 제작까지 각 회사들마다 제작 방식과 공정 방식이 다양한데요!
메모리폼은 폴리우레탄(폼)으로써
화학 원료를 배합해서 제작하게 되는 소재입니다.
그 중에서 입자가 고밀도로 촘촘하고 충격에 대한 안정성이 높고 원래의 모양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을 띠는
폼을 메모리폼이라고 하는데,
메모리폼은 최초로 NASA에서 우주 비행사와 장비들이 손상되지 않게
비행선의 이착륙시 생기는 충격에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해요.
그 소재는 점차 우리 실생활로 들어오게 되어,
현재 가장 인기있는 매트리스 내장재로 자리잡게 됩니다.
메모리폼이라고 불리는 폴리우레탄은 화합물 내에서 우레탄 결합 정확하게는 RNH - COOR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 히드록시 화합물인 폴리올과의 반응으로 만들어져요!
이 소재의 특징으로는
1. 점탄성이 우수하다.
2. 마모성이 뛰어나 점착제로도 활용한다.
3. 슈즈, 건자재, 자동차용품, 가구까지 활용 범위가 다양하다.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폴리우레탄의 75% 이상은 폴리우레탄 폼 형태고,
원료 물질의 특성에 따라 연질/경질 우레탄 폼으로 분류가 된다고 하네요!
특히, 메모리폼 매트리스, 가구 쪽으로 들어가는 폼은
연질우레탄 폼으로 상대적으로 쿠션성과 강도와 통기성이 좋은 특징을 가집니다!
메모리폼 매트리스의 원료 : TDI vs MDI
TDI에 대해
TDI는 톨루엔으로 폴리우레탄을 만들 때 들어가는 원료인데요!
폴리올이라는 것과 반응해서 폴리우레탄을 만들게 하는 역할을 해요.
주로 스펀지, 폼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TDI는 휘발성 원료로 향은 날아가고, 점탄성과 인력이 강한 폼이 만들어진다고 해요!
MDI에 대해
MDI는 메틸렌으로 불리며, 보통 가구에 들어가는(메모리폼 매트리스, 소파 등) 폴리우레탄을 만드는 원료이며,
운동화 밑창에 들어가기도 하는 화학 원료에요.
MDI로 만들어진 폼은
생산과정에서 유해물질에 대해 비교적 자유롭고,
물성을 조절해서 폼의 느낌에 변화를 줄 수가 있다고 해요!
TDI vs MDI 제조 방식에 따른 디아소시아네이트 검출 농도 비교
<우레탄 폼 제조 방식에 따른 디아소시아네이트 노출 수준>에 관한 논문인데요!
몰드와 슬랩스톡 이라는 두 가지 제조방식으로 TDI/MDI ppb 대기오염물질 농도 치수를 볼 수 있는 자료라고 하는데요!
몰드 제조 방식 + MDI
대기오염물질 농도 지수 : 0.004
슬랩스톡 제조 방식 + TDI
대기오염물질 농도 지수 : 6.291
농도 지수에 따라 달라지는 수치가 확 보이는데요!
이렇게 같은 소재를 만드는 원료에 따라
안정성 자체가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어요.
.
.
.
MDI를 사용하는 마스슬립 메모리폼 매트리스
원료를 어떤 것을 쓰느냐에 따라서 농도 검출이 다르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상대적으로 MDI를 썼을 때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비교적 낮게 잡힌 것을 알 수 있었어요.
TDI의 경우 가구에 쓰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 되어
몸을 직접 대고 쓰는 가구의 특성상 어울리지 않다고 해요.
이렇게 보기에는 차이가 없어보이지만 발포된 폼의 상태에 따라
비교를 할 수 있는 자료가 마스슬립 공식 블로그에 있어서 가져왔어요!
위의 폼은 설명대로 TDI로 만든 폼이고,
이렇게 두고 비교하니 매끈하게 발포된 숨구멍의 차이가 확실히 보이더라구요
폼의 사이사이가 훨씬 거칠고 기포가 크게 잡혀 확실히 비교가 되는 것 같아요!
제조사마다 기술, 장비에 따라 다르지만
MDI는 보통 배합을 다르게 해서 점성을 조절할 수 있어
부드럽거나 상대적으로 탄탄하거나 하는 부분들을 조절할 수가 있다고 해요!
저가형 메모리폼 매트리스에서는 이런 차이들로 메모리폼이 보이지 않게 커버를 벗길 수 없게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단가가 MDI보다 훨씬 저렴한 TDI이기 때문에 메모리폼 매트리스 가격 차이도 여기서 벌어지게 된다고 해요!
이렇게 안정성을 두고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보신다면 적어도 MDI를 사용했는지 여부를 확인해봐야 될 것 같더라구요!
.
.
.
마스슬립 메모리폼 매트리스 공정 과정
요즘 시대에 이렇게 공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기가 쉽지 않은데,
마스슬립에서는 공정과정을 공개했더라구요!
자연 건조되며
재단을 기다리고 있는 메모리폼 매트리스 내장재 메모리폼입니다!
저 상태로 오기까지 메모리폼은 이렇게 발포를 시킨다고 해요
발포의 과정을 거친 폼들은 각각 건조 단계에서 혹시 있을지 모르는 냄새나 유해물질을 날려줍니다.
이후 접착을 위해 폼 구성을 마치고 접착을 하게 됩니다!
재단기에 들어가서 공정기계가 정확한 치수로 잘라서 옆에 거칠고 면이 고르지 못한 부분들을 깔끔하게 정리해줍니다
이렇게 재단이 되고나니 어느정도 메모리폼 매트리스의 느낌이 살짝씩 느껴지는 것 같은데요!
마스슬립에서는 한 장의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제작하는데는 대략 10분 정도가 소요된다고 밝혔는데
수치를 입력하고 재단하고
이후 커버 작업과 불량 검수, 유해물질 검수, UV 살균 시스템, 고온 건조를 통해 제품이 완성된다고 해요.
이렇게 제작된 마스슬립의 메모리폼 매트리스의 공정과정은 블로그를 통해 쉽게 접해볼 수 있게
정보를 공개해둔 상태이구요!
원료 또한 MDI를 쓰고, 세계에서 인증하는 기관들에 대해
인증서도 받아서 믿고 쓸 수 있게끔 제작하고,
그렇게 높은 안전성과 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원료의 특징을 살려
3가지 타입으로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만들고 있다고 합니닷!
해당 인증서에 대해 찾아보니
1. CertiPUR - 국제 폼 인증 기관
2. TUV 완제품 안정성 인증
3. fiti 유해물질 미검출 인증
이라고 하더라구요!
라돈 수치에 따라 검출되는지 여부도 당연히 체크 했구요!
MDI를 원료로 쓰고 있어 이미 안전한 제품이지만
그럼에도 남아 있을 수 있는 유해물질과 새 제품에서 나는 냄새를 빼는 작업들을 더하고,
라돈 테스트까지 진행한다고 하고
이 과정은
1. 고온으로 각종 유해물질을 제품 밖으로 배출
2. 자외선으로 살균, 소독 강한 바람으로 유해물질을 배출
3. 고온으로 압축, 살균 과정
을 거치게 되는데
이후 결과는
1. VOCs, 라돈, 포름알데이히드, 유해원소, 중금속 등 배출
2. 고온 처리와 강한 바람을 반복으로 작업해 메모리폼 고유의 냄새를 제거
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오늘은 마스슬립 메모리폼 매트리스 공정 과정을 들여다봤는데요!
확실히 이렇게 공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두니
그래도 믿고 쓸 수 있을 것 같고,
국내 브랜드로써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좋았던 것 같아요
이런 마스슬립 메모리폼 매트리스를 볼 수 있는 홈페이지를 링크로 달아둘게요.
그리고 전국에 쇼룸도 위치해있어서 체험해보시는 것도 추천해요!
마스슬립 메모리폼 매트리스 종류별로 보러가기
⬇︎
마스슬립 | 무중력 메모리폼침대
SLEEP IS ENERGY. 무중력의 편안함으로 차원이 다른 잠의 세계를 경험해보세요.
marssleep.com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독) 2023 침대 매트리스 선택 가이드 (0) | 2023.05.12 |
---|---|
메모리폼 매트리스 제작 A to Z까지 알아보기 (0) | 2023.04.29 |
나에게 맞는 매트리스 쇼룸에서 체험하고 침대 렌탈까지 (0) | 2023.04.21 |
허리디스크에 좋은 매트리스, 어떻게 골라야 되나요? (0) | 2023.04.14 |
허리가 편한 그리고 허리에 좋은 매트리스란??? (0) | 2023.03.31 |